KTX는 대한민국의 주요 도시들을 빠르게 연결해주는 교통수단으로, 전국 9개 노선이 운영 중에 있습니다.
서울 부산이 2시간 10분대 이동이 가능할 만큼 빠르고 편리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데, KTX 자유석 뜻과 입석, 지정석의 각각의 장단점과 이용 팁을 잘 활용하여 경제적이고 편리한 이용에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목 차
KTX 자유석 뜻
1. 자유석과 입석의 차이점
KTX 자유석은 자리가 정해져 있는 지정석이 아닌 좌석으로, 승차 후에 비어 있는 좌석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좌석을 의미하며, 입석은 열차 내 좌석이 아닌 열차 내 복도나 연결 통로 등의 장소에서 서서 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구분 | 자유석 | 입석 |
---|---|---|
특징 | – 지정된 칸 (주로 18호차 또는 KTX-산천 8호차) | – 좌석 없이 복도나 연결 통로에서 서서 이동 |
– 좌석 번호 없이 빈 좌석에 자유롭게 앉음 | – 일반석이 매진된 후 구매 가능 | |
– 요금은 일반 좌석보다 약 5% 저렴 | – 요금은 일반 좌석보다 약 15% 저렴 | |
운임 | – 일반석보다 10% 할인 | 일반석보다 15% 할인 |
이용 방법 | – 현장 발권 창구, 자동 발매기, 코레일톡 앱에서 구매 | – 역에서 현장 구매 |
– 지정된 자유석 칸에서 빈 좌석에 앉음 | – 서서 이동하며, 빈 좌석에 앉을 수 있음 | |
장점 | – 경제적인 요금 | – 저렴한 비용으로 열차 이용 가능 |
– 빈 좌석에 유연하게 앉을 수 있음 | – 긴급한 경우에도 티켓 구입 가능 | |
단점 | – 좌석이 보장되지 않아 서서 이동할 가능성 있음 | – 장시간 서서 이동해야 하므로 불편함 |
– 혼잡한 시간대에는 좌석 확보 어려움 | – 좌석 보장 불확실성 큼 | |
주의 사항 | – 승무원이 승차권 확인할 수 있어 준비 필요 | – 장거리 이동 시 피로감 커질 수 있음 |
– 혼잡 시간대에는 일찍 탑승 필요 | – 간이의자 및 휴게 공간 활용 필요 | |
이용 꿀팁 | – 일찍 탑승하여 빈 좌석 선점 | – 간이의자 위치 미리 파악 |
– 출발 2시간 전에 역 도착하여 예매 | – 빠르게 간이의자 위치 파악 후 활용 |
KTX 자유석
1. 위치: KTX 자유석은 특정 칸에 위치하며 좌석 번호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주로 18호차, KTX-산천에서는 8호차가 자유석입니다.
2. 이용: 승객은 자유석 칸 내에서 비어 있는 좌석에 앉을 수 있으며, 좌석이 없으면 서서 가야 합니다.
3. 가격: 지정석보다 약 10% 경제적입니다.
4. 미리 예약하지 않음: 열차 출발 전에 예약하지 않고, 당일에 자유석 티켓을 구매한 후, 자유석 칸에서 빈 자리를 찾아 앉으면 됩니다.
5. 구매: 현장 발권 창구, 자동 발매기, 코레일톡 앱 등을 통해 구매할 수 있습니다.
6. 유연성: 좌석 번호가 정해져 있지 않아 빈 좌석에 자유롭게 앉을 수 있습니다.
7. 승차권 준비: 승무원이 승차권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언제든지 보여줄 준비가 필요합니다.
8. 조기 탑승: 혼잡한 시간대에는 일찍 도착하여, 열차 출발 10분전에는 탑승하는 것이 좋습니다.
9. 할인 혜택: 기본적으로 지정석보다 약 10% 저렴하며, 학생, 군인, 장애인 등은 추가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10. 포인트 적립: 코레일 멤버십에 가입하면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으며, 적립된 포인트는 차후 승차권 구매 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KTX 입석
1. 위치: KTX 입석은 좌석이 보장되지 않으며, 열차 내 복도나 연결 통로에 서서 이동해야 합니다.
2. 이용: 열차가 만석일 때 주로 이용됩니다. 빈 좌석이 있을 경우 해당 좌석에 앉을 수도 있습니다.
3. 가격: 자유석과 거의 동일한 가격이나, 약간 더 저렴할 수 있습니다. 지정석에 비해 약 15% 저렴합니다.
4. 구매: 입석 티켓을 구매하고, 열차 내에서 서서 이동해야 합니다. 현장 발권 창구, 자동 발매기, 코레일톡 앱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5. 경제적: 저렴한 비용으로 열차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6. 유연성: 긴급한 경우에도 티켓을 구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7. 편안한 복장: 장시간 서서 이동해야 할 수 있으므로, 편안한 신발과 복장을 착용합니다.
8. 이동 경로 확보: 열차의 끝 부분이나 연결 통로는 비교적 한산하므로 이곳에서 이동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습니다.
9. 할인 혜택: 자유석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지정석보다 저렴하며, 학생, 군인, 장애인 등은 추가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10. 포인트 적립: 코레일 멤버십에 가입하면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으며, 적립된 포인트는 차후 승차권 구매 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KTX 요금 비교
서울 부산 기준 요금입니다.
구분 | 가격 (예시) |
---|---|
지정석 | 약 59,800원 |
자유석 | 약 53,800원 (10% 할인) |
입석 | 약 52,800원 |
예약 방법
지정석 , 자유석, 입석은 모두 같은 방법으로 예매가 가능합니다.
1. 온라인: 코레일 공식 웹사이트나 모바일 앱에서 회원 가입 후 예약 가능.
2. 오프라인: 역무실이나 자동발매기에서 예약 가능.
👍 함께 보면 좋은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