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장마기간 예상 강수량 장마 대비 방법

2024년 장마기간

2024년 장마기간 예상 강수량 장마 대비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장마기간은 예년보다 조금 일찍 시작할 것으로 예상이 되며, 예상 강수량은 예년보다 많은 724mm로 예측이 됩니다.

집중 호우 기간에 소중한 생명과 재산 피해를 받지 않도록 , 2024년 장마기간 예상 강수량 장마 대비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역별 예상 강수량이 궁금하시면 아래에서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4년 장마기간

2024년 장마기간은 예년보다 5일정도 일찍 시작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지구 온난화가 고온다습한 장마 전선을 일찍 발달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길게 뻗은 우리나라는 제주도를 시작으로 북쪽으로 올라가며 장마 가 시작됩니다.

각 지역에 따른 2024년 장마기간은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지역장마 시작장마 종료
제주도6월 15일7월 19일
남부지역
(경상도, 전라도)
6월 20일7월 23일
중부지역
(서울,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6월 25일7월 31일
2024년 장마기간





지역별 예상 강수량

기상청에 따르면 2024년 장마기간 동안 지역별 강수량은 작년에 비해 10% ~30% 더 비가 올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이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공기 중에 수증기 함량이 더 높아지는데 그 원인이 있습니다.

제주도: 작년 대비 130% 수준의 강수량 예상

서울, 경기도: 작년 대비 120% 수준의 강수량 예상

강원도: 작년 대비 130% 수준의 강수량 예상

충청도: 작년 대비 110% 수준의 강수량 예상

전라도: 작년 대비 115% 수준의 강수량 예상

경상도: 작년 대비 105% 수준의 강수량 예상




장마 기상 특보는 아래에서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별 장마 대비 방법

우리나라는 남북으로 쭉 뻗은, 산간 지역이 많은 특징으로 각 지역에 따른 장마 대비 방법을 아래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장마는 제주도에서부터 시작해 올라옵니다.


1. 제주도

  • 장마기간: 6월 10일 ~7월 19일
  • 6월말부터 7월말 사이에 제주도 여행 계획이 있으신 분들은 기상 예보와 비행기 결항 등을 수시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해안가 주민들은 높은 파도와 강풍에 대비해 해안가에서 떨어진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고 깨진 유리나 창문이 있지 않은지 사전에 확인합니다.
  • 강풍과 폭우로 인한 과수작물이나 농작물 피해를 줄이기 위해 비닐하우스 및 농업시설을 점검하여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 장마철 제주도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기상 상황과 안전 수칙 및, 대피 장소에 대해 철저하게 안내합니다.
  • 산간 도로와 해안도로의 침수 및 산사태 위험을 사전에 점검하고, 장마로 인한 도로 훼손시 도로를 폐쇄하여 인명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합니다.
  • 저지대의 배수로를 정비하고, 하천 주변의 고령 주민들을 대피하기 위한 교육을 사전에 완료합니다.




2. 중부 지방

  • 장마기간: 6월 25일 ~ 7월 31일
  • 도심 지역의 배수구와 하수도 시스템을 점검하고 정비하여 도로가 침수되어 2차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점검을 완료합니다.
  • 식량, 물, 응급약품, 손전등, 비상배터리 등 전전을 대비한 비상 물품을 구비합니다.
  • 주택과 건물의 지붕, 창문, 간판, 배수구 등을 점검하고 방수 처리를 합니다.
  • 자동차는 지하 주차장이 아닌 높은 지대에 주차하고, 침수 예상 지역을 피합니다.
  • 특히, 수도권은 인구 밀집 지역이 많으므로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 산간지역 주민들은 산사태 위험 지역을 사전에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사전에 알아둡니다.




3. 남부 지방

  • 장마기간: 6월 20일~ 7월 23일
  • 농경지가 많은 지역인 만큼 배수로를 정비하고, 비닐하우스 등 농작물 보호시설을 강화합니다.
  • 저수지와 댐의 수위 조절 및 안전 점검을 실시하며, 사전에 미리 방류를 실시해 홍수 피해를 예방합니다.
  • 침수 위험이 있는 저지대 주택의 안전 조치를 실시해 재산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 지역 내 비상 대피소의 위치를 확인하고, 대피 경로를 미리 숙지합니다.

-지역 주민들과 협력하여 재난 대응 계획을 수립하고, 필요한 경우 공공기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장마에 적극적으로 대응합니다.




우리나라에 큰 피해를 준 역대 장마 피해 사례는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장마의 원인

장마는 대기 중의 고기압과 저기압이 만나는 지역에서 발생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북태평양 고기압과 오호츠크해 고기압 사이에서 정체전선이 형성됩니다.

이 고기압들은 주로 여름철에 발생하며, 북태평양 고기압은 남쪽으로 확장하고 오호츠크해 고기압은 북쪽으로 확장하여 서로 만나면서 정체전선이 형성됩니다.



이 지역에서는 따뜻하고 습한 공기와 차가운 공기가 충돌하면서 지속적인 비가 내리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이 주로 6월 중순부터 7월 말까지 이어지며, 기후 변화로 인해 장마의 기간과 강수량이 변동되는데, 강수량이 더 많아지고 장마 기간이 길어지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