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조건은 만 19세에서 34세 청년 중에서 가구소득 중위 180%이하이면서 개인소득 총 급여액이 7,500만원이하이거나, 종합소득액이 6,300만원이하라면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이 가입 조건에 모두 해당되신다면 정부가 최대 40만원씩 지원하여 5년간 최대 5,000만원을 모을 수 있도록 지원해 드립니다.
정부에서 주는 지원금 받고 싶지 않으세요? 제가 쉽고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목 차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사회 청년생들에게 경제 활등의 중요성과 꾸준한 저축을 통해 자산 형성의 도움을 주기 위해 국가의 주도 하에, 일정 조건에 해당하는 청년들에게 정부의 지원금을 더해 5년간 최대 5,000만원의 몫돈을 모을 수 있도록 설계된 금융정책입니다.
만기 5년(60개월)동안 70만원 안에서 본인의 형편에 맞춰서 자유롭게 납입 금액을 정해서 적금을 넣을 수 있습니다.
가입 나이
가입일을 기준으로 만 19세에서 34세 이하라면 가입하실 수 있고, 의무 병역 기간은 자동 합산되어 최대 만 39세까지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가입 기간
2023년 6월 15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 한시적으로 2년 반 동안만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가입 조건이 되신다면 미루지 마시고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청년도약계좌 조건은 개인 소득 요건과 가구 소득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아래의 1과 2를 모두 충족해야 가입 대상이 되십니다.
1. 개인소득요건
- 개인소득은 총급여액이 7,500만원이거나,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
- 가구소득은 중위소득 180% 이하에 해당되어야 합니다.
참고: 중위소득표
기여금 지급구조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본인의 상황에 맞춰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한 5년 만기 적금으로 생각하시면 되는데, 여기에 소득 수준과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매칭되어 지원되는 구조입니다.
월 기여금 지급한도는 최소 40만원부터 최대 70만원까지 지원이 됩니다.
당연히 이자 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이 이뤄지며 중도 해지의 경우 비과세 혜택이 주어지지 않지만, 몇몇 사유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이 유지가 됩니다.
가입 절차
매월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가입 신청은 선택하신 은행 앱에서 직접 신청하시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가입 요건을 확인한 후에 해당 은행으로 결과를 통보한 후에 계좌를 개설하실 수 있습니다.
전면 비대면으로 진행 하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가입시 주의점
기존의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대상에서 제외되고, 1인당 1개의 계좌만 개설하실 수 있습니다.
소득이 없거나 국세청에서 소득금액을 증명 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가입할 수 없습니다.
개설 가능한 은행
현재 11개의 은행이 참여 중이며 2024년부터는 SC제일은행도 참여할 예정입니다.
본인의 주거래 은행에서 우대금리가 적용되는 거래처를 선택하면 더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시중 은행 | 지방 은행 |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기업, 국민 | 대구, 부산, 경남, 광주, 전북 |
금리 비교
금리 비교 후 주거래 은행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들의 몫돈 마련을 도와주기 위해 소득별로 매칭 금액을 지원해 5년간 최대 5,000만원을 만들어주는 적금 상품입니다.
개인소득과 가구소득요건, 즉 청년도약계좌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청년들이라면 2025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하실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하셔서 혜택을 보시길 바랍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세금 3.3% 계산기(프리랜서, 알바, 임시직, N잡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