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다자녀 가구 혜택과 지원이 더욱 확대되었습니다.
주거, 교육, 금융, 교통, 세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자녀 가구의 삶을 돕는 혜택들이 쏟아지고 있는데요.
아래에서 다자녀 가구가 놓치지 말아야 할 혜택과 신청 방법, 세부 내용을 자세히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주거 지원
1. 공공주택 특별공급
- 대상: 2자녀 이상 가구
- 혜택: 공공임대주택 및 공공분양주택 우선 공급
- 신청 방법: LH(한국토지주택공사) 또는 SH(서울주택도시공사) 청약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
- LH 청약 바로가기
- SH 청약 바로가기
2. 전세자금 대출 우대금리
- 대상: 다자녀 가구
- 혜택:
- 최대 1.0%포인트 금리 인하
- 대출 한도 최대 2억 원 추가 확대
- 신청 방법: 주요 은행 또는 금융기관에서 상담 및 신청
- 자세한 내용은 주택도시기금 확인
교육 지원
1. 국가장학금
- 대상: 다자녀 가구 대학생
- 지원 금액:
- 첫째·둘째 자녀: 연간 최대 135만 원
- 셋째 이상 자녀: 연간 최대 200만 원
- 신청 방법:
- 한국장학재단 국가장학금 신청
2. 아이돌봄서비스
- 대상: 12세 미만 자녀를 둔 가정
- 혜택:
- 맞춤형 돌봄 서비스 제공
- 소득에 따른 본인 부담금 지원
- 신청 방법:
- 복지로 아이돌봄서비스 바로가기
금융 혜택
1. 보금자리론
- 대상: 다자녀 가구, 전세사기 피해 가구, 생애 첫 주택 구입자
- 대출 한도:
- 일반: 최대 3.6억 원
- 다자녀: 최대 4억 원
- 금리: 4.20%~4.50% 고정 금리
- 신청 방법:
- 보금자리론 안내
2. 다자녀 우대카드
- 대상: 다자녀 가구
- 혜택:
- 공공시설 무료 이용
- 대중교통 할인
- 영화관, 공연장 할인 등
- 신청 방법: 거주지 지자체에 문의
교통비 지원
1. K-패스 대중교통비 환급
- 대상: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가구
- 혜택:
- 2자녀 가구: 지출 금액의 30% 환급
- 3자녀 이상 가구: 지출 금액의 50% 환급
- 신청 방법:
- K-패스 앱 설치 후 정기권 구매 및 환급 신청
- K-패스 안내
2. 공항 주차장 할인
- 대상: 다자녀 가구
- 혜택:
- 인천공항, 김포공항 등 주요 공항에서 주차료 50% 할인
- 신청 방법:
- 공항 주차장 현장에서 가족관계증명서 제출
공공요금 할인
1. 전기요금 할인
- 대상: 3자녀 이상 가구
- 혜택: 월 최대 16,000원 할인
- 신청 방법:
- 한국전력공사 전기요금 할인 신청
2. 도시가스 요금 감면
- 대상: 3자녀 이상 가구
- 혜택:
- 동절기(12월~3월): 월 최대 18,000원 할인
- 기타 기간: 월 2,470원 할인
- 신청 방법:
- 지역 도시가스사 고객센터에서 신청
세제 혜택
1. 자녀 세액공제
- 대상: 다자녀 가구
- 혜택:
- 첫째·둘째 자녀: 자녀 1인당 15만 원 세액공제
- 셋째 이상 자녀: 추가 공제 30만 원
- 신청 방법: 연말정산 시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신청
- 국세청 세액공제 안내
2. 자동차 취득세 감면
- 대상: 3자녀 이상 가구
- 혜택: 차량 취득 시 최대 140만 원 감면
- 신청 방법: 관할 지자체 자동차 등록 센터에서 신청
문화 및 여가 지원
1. 공공시설 이용료 감면
- 대상: 다자녀 가구
- 혜택:
- 국립자연휴양림, 박물관, 공공체육시설 등 최대 50% 할인
- 신청 방법: 방문 시 다자녀 우대카드 및 신분증 제시
2. 영화관 및 공연 할인
- 대상: 다자녀 가구
- 혜택: CGV, 메가박스, 롯데시네마에서 영화 티켓 할인
- 신청 방법: 다자녀 우대카드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제출
2025년 다자녀 가구를 위한 혜택은 단순한 지원을 넘어 삶의 질을 높이는 큰 힘이 됩니다. 모든 정보는 각 기관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하고, 놓치지 말고 알뜰하게 누리세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